미준공 이란?
미준공 건물이 발생되는 이유와 효과적으로 준공날수 있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토지주는 건축허가를 완료후 공사를 할 시공사를
선정하여 공사비를 마련후 착공후 책임준공 완료
그런데 시행사(건축주)는 금융구도의 진행을 사업비 전체(토지비+공사비+기타사업비)를 셋팅이나 태핑하고 진행하면 미준공 사태가 발생 할수 없겠지만
현재 미준공 발생 요인을 살펴 보면 사업비 조달의 문제 라고 보여집니다.
첫번째 요인은 ? 시공사가 외상공사 로 하여 준공해준다는 도급계약이며 여기서 하도급 업체의 대물로 주어 준공할수 있다는 내용으로 착공후 공정율 50%~80%내외 공사비 조달 미비로 멈춤 된 미준공 현장
두번째 요인은? 지역신협.새마을금고 의 시설자금(기성고)대출로 즉 공사비의 70%내외 자금 셋팅후 시공사의 책임준공 현장이 그의 공정율 80~90%내 미진한 공사비의 조달을 못하여 미준공 건물이 발생 됩니다.
서번째 요인은? 시공업체가 공사시작 전.후 사전 청약을
정식적 신탁에 대리사무 계약을 진행후 분양계약금을 입금후 신탁사의 관리 받아 완료 되면 되지만, 건분법 적용(분양면적)대상인데 사전분양승인 받아 신탁사의 청약 계좌를 만들어 정식 절차로 진행해도 공사비 조달이 힘드는데 시행사는 정식 분양승인도 받지 않고 청약받은 돈으로 공사비일부를 사용하여 착공한 현장이 대다수 미준공 사태가 발생 되고 있습니다.
미준공 발생시 해결책 보안책 있는가?
미준공 발생 현장대상 사업성 우수지역 으로 금융권에서 일부만 권리관계.하도급유치관계.저당하자등 사업성 평가를 하여 준공 날수 있는 PF를 조달 하지만 대다수 금융권의 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 이라 보시면 됩니다.
그럼 마무리 공사자금은 어디서 조달 하여 준공완료 할수 있을까?
대부업이나. P2P연계대부업등 까다롭지 않는 심사로
준공만 완료 된다면 상환 받을수 있다고 하여 진행이 대다수 이지만 그런데 이마져도 준공후 미분양.대환대출이 안되어 빌려준 대출이 정상적 회수가 지연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높은 이자와 부대비용은 절대적으로 준공청산때 까지 함께 하겠죠
그럼 미준공 원인의 선행 진입방법을 새행사.시공사.관계자들이 금융참여 구도만 즉 기초만 이해하고 알면 미준공 사태를 미연에 졔거 할수 있다는것입니다.
관토(관리형토지신탁)/관토채준(책임준공보증)
차입형신탁(개탁)/분양관리신탁(분관)
현 국내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는 상기 내용의 진행 방법을 잘 숙지 하고 알면 미준공의 염려는 없다고 보여집니다.
당연히 사업비(토지비+공사비+설계.감리비+보전등기비+분양수수료+PM용역비+기타사업비)일체를 약 90%~100%
태핑후 진행 한다면 과연 미준공 사태가 발생 될수 있을까요?
판단은 각자의 몫이라고 보여지며 시행개발 사업은 처음부터 계획이 없음
진행후 어떠한 변수가 발생할수 있을지에 대하여 누구도 답이 없다는 것입니다.
미준공건축자금 대출
▣ 상 품 :미준공 건축자금 투자
멈춤 현장,공사진행중 현장
▣ 지 역: 전 국
▣ 담 보물: 도생. 근생주택, 빌라.주택
다세대, 오피스텔, 근생건물
아파트,공장.모텔,폔션등
<분양성 좋은 물건,분양에 리스크가 없는 물건위주로 진행함>
▣ 공 정 율: 상 관 없 음
▣ 투자금리: 연10%~연20%
▣ 투자한도: 100억이내
▣접수서류; 사업계획서,수지분석표
허가서,현장사진.도급계약서
공사비지급.미지급내역서
▣접수메일; money3443@nate.com
▣전화상담: 010-4740-6157